From Now On...
자연의 지혜중 / 애니 딜라드 / 현재는 순간이다... 본문
현재는 순간이다
I am sitting under a bankside sycamore; my mind is a slope.
강둑의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 앉아 있는 내 마음은 비탈길 같다.
Arthur Koestler wrote, "In h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present, Woodrow found that its maximum span is estimated to lie between 2.3 and 12 seconds."
"심리적 현재를 다룬 글에 대한 서평에서, 우드로는 그 글이 다루는 최대한의 시간이 대략 2.3초에서 12초 사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라고 아서 케스틀러가 썼다.
How did anyone measure that slide?
그런 시간의 흐름을 어떻게 잴 수 있었을까?
As soon as you are conscious of it, it is gone.
의식하자마자 그것은 사라지는데 말이다.
I repeat a phrase: the thin tops of mountains.
"수척한 산꼭대기" 하고 내가 한 구절을 따라 읽는 순간,
Soon the thin tops of mountains erupt, as if volcanically, from my brain's core.
곧 수척한 산꼭대기는 마치 화산이 폭발하듯이 내 두뇌의 중심에서 분출하고 만다.
I can see them; they are, surprisingly, serrate---scalloped like the blade of a kitchen knife---and brown as leaves.
나는 그 산꼭대기를 볼 수 있다. 그 꼭대기는 놀랄 만큼 들쑥날쑥하고 뾰족뽀죡하다. 부엌 칼날처럼 굴곡을 이루었고 낙엽처럼 갈색이다.
The serrated edges are so thin they are translucent; through the top of one side of the brown ridge I can see, in silhouette, a circling sharp-shinned hawk; through another, deep tenuous veins of metallic ore.
들쑥날쑥하고 뾰족한 가장자리는 색이 너무 엷어서 거의 투명해 보였다. 갈색 산등성이의 한쪽 봉우리 너머로 나는 원을 그리고 있는 날카롭게 빛나는 매의 실루엣을 보았다. 다른 쪽 면으로는 깊고도 가느다란 광물질의 정맥을 볼 수 있었다.
This isn't Tenker Creek. 이것은 팅커 냇물이 아니다.
Where do I live, anyway? 그건 그렇고 지금 나는 어디에 살고 있는가?
I lose myself, I float..... 나는 나를 잃어버리고 둥둥 떠다니는 중이다.
I am in Persia, trying to order a watermelon in German. 나는 페르시아에 머물며 독일산 수박을 주문한다.
It's insane. 정신 나간 짓이다.
The engineer has abandoned the control room, and an idiot is splicing the reels.
기술자가 통제실을 버리고 떠났고 한 바보가 실패를 잇대고 있다.
What could I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present"?
심리적 현재에 관한 연구에 나는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If I could remember to press the knob on the stop-watch, I wouldn't be in Persia.
스톱워치의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낸다면, 나는 더 이상 페르시아에 있지 않을 것이다.
Before they invented the unit of the second, people used to time the lapse of short events on their pulses.
사람들은 '초' 라는 단위를 창조하기 전에 자신들의 맥박을 재곤했다.
Oh, but what about that heave in the wrist when I saw the tree with the lights in it, and my heart ceased, but I am still there?
오, 그런데 빛이 깃든 나무를 보고 나는 여전히 그곳에 있되 내 가슴은 멈추었건만, 내 손목에서 점점 빨리 뛰던 맥박은 어찌되었나?
Scenes drift across the screen from nowhere.
어디서 왔는지 모를 스크린 위에 장면들이 떠내려간다.
I can never discover the connection between any one scene and what I am more consciously thinking, nor can I ever conjure the scene back in full vividness.
나는 내가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어느 한 장면 사이의 연관성을 찾을 수가 없다. 그 장면을 충분히 생생하게 되살릴 수도 없다.
It is like a ghost, in full-dress regalia, that wafts across the stage set unnoticed by the principle characters.
그것은 화려한 예복을 걸치고 성장한 유령과도 같다. 주인공들의 눈에는 띄지 않는 채 무대 세트를 가로질러 둥둥 떠다니는 유령 말이다.
It appears complete, in full color, wordless, though already receding: the tennis courts on Fifth Avenue in Pittsburgh, an equestrian statue in a Washington park, a basement dress shop in New York City---scenes that I thought meant nothing to me.
그 유령은 이미 물러갔음에도 불구하고 다채로운 빛깔의 옷을 입고 말없이 완전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피츠버그 5번가의 테니스 코트, 워싱턴 공원의 말 탄 사람 동상, 뉴욕의 지하에 있는 헌 옷가게. 나에게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던 장면들이다.
These aren't still shots; the camera is always moving.
이 장면들은 스틸 사진들이 아니다. 카메라는 항상 움직이고 있으며,
And the scene is alway s just slipping out of sight, as if in spite of myself I were always just descending a hill, rounding a corner, stepping into the street with a companion who urges me on, while I look back over my shoulder at the sight which recedes, vanishes.
그 장면은 언제나 시야에서 막 벗어나는 찰나이다. 마치 나도 모르는 새 나를 재촉하는 친구와 함께 언덕을 막 내려가서 모퉁이를 돌아 큰길로 접어들 무렵, 어깨 너머로 돌아본 풍경이 물러나거나 사라지던 것처럼.
The present of my consciousness is itself a mystery which is also always just rounding a bend like a floating branch borne by a flood.
내 의식의 현재는 그 자체가 신비이며, 물살에 이끌려 둥둥 떠다니는 나뭇가지처럼 굽은 곳을 언제나 막 돌아 나오고 있다.
Where am I? But I'm not. 나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없다.
"I will overturn, overturn, overturn, it: and it shall be no more....."
"나는 그것을 뒤집고 뒤집은 다음 또 뒤집는다. 그러면 그것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
All right then. Pull yourself together.
그렇다면 좋다. 냉정을 찾아라.
Is this where I'm spending my life, in the "reptile brain," this lamp at the top of the spine like a lighthouse flipping mad beams indiscriminately into the darkness, into the furred thoraxes of moths, onto the backs of leaping fishes and the wrecks of schooners?
내가 내 인생을 보내는 곳이 여기, '파충류의 뇌' 속이란 말인가? 암흑 속에, 털이 부숭부숭한 나방의 가슴팍에, 튀어 오르는 불고기의 등에, 범선의 잔해에, 등대처럼 무차별적으로 미치광이 같은 빛을 던지는, 등뼈 꼭대기에 달린 이 등불 속이란 말인가?
Come up a lever; surface. 수면 위로 올라가자. 표면으로.
I am sitting under a sycamore by Tinker Creek.
나는 팅커 냇가 옆에 있는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 앉아 있다.
I am really here, alive on the intricate earth under trees.
둥치 근처의 뒤얽힌 흙 위, 여기에 나는 살아서 실재하고 있다.
But under me, directly under the weight of my body on the grass, are other creatures, just as real, for whom also this moment, this tree, is "it."
하지만 내 밑에, 내 몸이 갖는 무게가 풀에 닿는 곳 바로 아래에 나와 마찬가지로 실재하는 다른 생물들이 있고 그들에게도 지금 이 순간 이 나무는 '그것' 이다.
Take just the top inch of soil, the world squirmint right under my palms.
흙의 표면을 조금만 움켜쥐어 보면 내손바닥 바로 아래에서 세상이 꿈틀거리고 있다.
In the top inch of forest soil, biologists found "an average of 1,356 living creatures present in each square foot, including 865 mites, 265 spring tails, 22 millipedes, 19 adult beetles and various numbers of 12 other forms.....
숲에 있는 흙의 표면에는 "평균 1,356마리의 살아 있는 생명체가 매 평방 30센티미터 공간마다 존재하며, 그 속에는 865마리의 진드기와 265마리의 톡토기, 22마리의 노래기, 19마리의 어른 딱정벌레 등 무수히 많은 열두 가지 다른 형태의 벌레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생물학자들이 밝혀 냈다.
Had an estimate also been made of the microscopic population, it might have ranged up to two billion bacteria and many millions of fungi, protozoa and algae----in a mere teaspoonful of soil."
만약 극히 미세한 생물까지 그 추산에 포함되었다면 12억 마리의 박테리아와 수백만 마리의 곰팡이, 원생동물과 조류까지도 거론되었을 것이다. 티스푼 하나 정도의 흙 속에 말이다."
The chrysalids of butterflies linger here too, folded, rigid, and dreamless.
번데기 상태의 나비도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꾸물거리고 있다. 날개를 접고 단단한 상태로 꿈도 꾸지 않는 채.
I might as well include these creatures in this moment, as best I can.
이 순간 나는 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이런 생명들도 아우르고 싶다.
My ignoring them won't strip them of their reality, and admitting them, one by one, into my consciousness might heighten mine, might add their dim awareness to my human consciousness, such as it is, and set up a buzz, a vibration like the beating ripples a submerged muskrat makes on the water, from this particular moment, this tree.
내가 그 생명들을 무시한다고 해서 그들에게서 그들의 현실을 뺏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 생명들을 하나씩 하나씩 내 의식 속에서 인정하면 나의 의식은 강화될 테고, 내가 가진 인간의 의식에 그들의 흐릿한 의식을 있는 그대로 보탬으로써, 물속에 잠긴 사향뒤쥐가 수면에 일으키는 찰싹거리는 잔물결 같은 울림과 진동을 발할 것이다.
Hasidism has a tradition that one of man's purposes is to assist God in the work of redemption by "hallowing" the things of creation.
18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 사이에서 일어난 신앙부흥 운동인 하시디즘은, 창조물들을 신성하게 함으로써 우리를 구원하려는 신을 돕는 것이 인간의 목표 가운데 하나라고 믿는다.
By a tremendous heave of this spirit, the devout man frees the divine sparks trapped in the mute things of time; he uplifts the forms and moments of creation, bearing them aloft into that rare air and hallowing fire in which all days must shatter and burst.
신심이 깊은 사람은 자신의 정신을 고양하여 시간 속에서 말 없는 존재 속에 갇혀 있는 신성한 불꽃을 해방시킨다. 그는 창조된 형상과 창조된 순간을 끌어내 저 희박한 공기 높은 곳에 두고, 모든 진흙을 터뜨려 흩어지게 만드는 불꽃을 신성하게 한다.
Keeping the subsoil world under trees in mind, in intelligencve, is the least I can do.
내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것은 나무 밑의 심토의 세계를 마음속에, 그리고 지성 속에 간직하는 것이다.
Earthworms in staggering processions lurch through the grit underfoot, gobbling downed leaves and spewing forth castings by the ton.
지렁이들이 내 발치의 잔모래를 통과하면서 이리 비틀 저리 비틀 걷고 있다. 지렁이들은 땅에 떨어진 이파리들을 게걸스럽게 먹으면서 알을 많이 낳고 있다
Moles mine intricate tunnels in networks; there are often so many of these mole tunnels here by the creek that when I walk, every step is a letdown.
두더지는 복잡하게 이어진 터널들을 뚫고 있다. 팅커 냇가 옆 이곳에는 이런 두더지 터널들이 어찌나 많은지 내가 걸을 때면 종종 디디는 발마다 아래로 푹푹 꺼지곤한다.
A mole is almost entirely loose inside its skin, and enormously mighty.
두더지는 살갗 안쪽이 예외 없이 푸석푸석하며 굉장히 덩치가 크다.
If you can catch a mole, it will, in addition to biting you memorably, leap from your hand in a single convulsive contraction and be gone as soon as you have it.
만약 두더지를 붙잡는다면, 녀석은 기억에 남을 만큼 사람을 물고 나서는, 단 한 차례 경련하듯 수축하면서 손에서 뛰어내려 잡자마자 놓치는 형국이 될 것이다.
You are never really able to see it; you only feel its surge and thrust against your palm, as if you held a beating heart in a paper bag.
그래서 결코 두더지를 실제로 볼 수가 없다. 마치 펄떡거리는 심장을 종이 가방에 넣어 들고 있는 것처럼, 손바닥 안으로 두더지가 달려들다가 확 밀어제치고 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뿐이다.
What could I not do if I had the power and will of a mole!
두더지가 가진 힘과 의지를 내가 가졌다면야 무슨 일인들 못하랴!
But the mole churns earth. 두더지는 땅을 휘저어 놓는다.
Last summer some muskrats had a den under this tree's roots on the bank; I think they are still there now.
지난여름 사향뒤쥐 몇 마리가 강둑에 있는 이 나무뿌리 아래에 굴을 하나 팠다. 나는 지금도 그 사향뒤쥐들이 살고 있을 것만 같다.
Muskrats' wet fur rounds the domed clay walls of the den and slicks them smooth as any igloo.
사향뒤쥐들의 젖은 털이 돔같이 생긴 굴의 진흙 벽을 마무르고는 이글루처럼 그 벽들을 매끄럽게 만들었다.
They strew the floor with plant husks and seeds, rut in repeated bursts, and sleep humped and soaking, huddled in balls.
그런 다음 사향뒤쥐들은 나무껍질과 씨앗들을 바닥에 뿌리고 나서, 그것들을 연거푸 터뜨려 자리를 만든 뒤, 공처럼 등을 구부리고 젖은 채 모여서 잠을 잤다.
These, too, are part of what Burber calls "the infinite ethos of the moment."
이 또한 부버가 "순간의 무한한 정신" 이라고 부른 것의 일부이리라.
I am not here yet; I can't shake that day on the interstate.
지금 나는 아직 여기에 없다. 나는 고속도로의 그날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My mind branches and shoots like a tree.
나무처럼 내 마음에 가지가 돋고 싹이 튼다.
Under my spine, the sycamore roots suck watery salts.
내 등뼈 아래에서 플라타너스 뿌리가 물기 많은 염분을 빨아들인다.
Root tips thrust and squirm between particles of soil, probing minutely; from their roving, burgeoning tissues spring infinitesimal root hairs, transparent and hollow, which affix themselves to specks of grit and sip.
뿌리 끝이 땅의 입자들 사이로 세세하게 살펴보면서 꿈틀대며 밀치고 나아가고 있다. 여기저기로 다니면서 싹을 틔우는 조직으로부터, 투명하면서 텅 비어 있는 극히 미세한 뿌리털이 자라는데 그 뿌리털은 소량의 사암에 꼭 붙어 있다.
These rennels run silent and deep; the whole earth trembles, rent and fissured, hurled and drained.
이 잔잔한 물결들이 말없이 깊이 흘러간다. 온 대지가 몸을 떨며 찢어지고 갈라지고 내던져지고 소모된다.
I wonder what happens to root systems when trees die.
나무가 죽을 때 뿌리 조직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하다.
Do those spread blind networks starve, starve in the midst of plenty, and dessicate, clawing at specks?
맹목적으로 퍼져 서로 연결되어 있는 뿌리들이 풍요로움 속에서 굶어 죽고 말라붙어 흙을 할퀴는 것일까?
Uner the world's conifers---under the creek side cedar behind where I sit---a mantle of fungus wraps the soil in a weft, shooting out blind thread after frail thread of palest dissolved white.
침엽수 아래(침엽수는 내가 앉은 곳 뒤편으로 삼나무 옆, 개울가 아래에 서 있다)에서 망토 같은 진균들이 씨실로 흙을 감싸고 있다. 진균들은 창백하게 녹아있는 가는 흰색의 약산 실을 먼저 뿌린 뒤 눈에 보이지 않는 실들을 던지고 있다.
From root tip to roop tip, root hair to root hair, these filaments loop and wind; the thought of them always reminds me of Rimbaud's "II have stretched cords from steeple to steeple, garlands from window to window, chains of gold from star to star, and I dance."
뿌리 끝에서 뿌리 끝까지, 뿌리털에서 뿌리털까지, 이 가는 실들이 고리를 만들면서 감고 있다. 이 가는 실에 대해 생각하면 언제나 랭보의 말이 떠오른다. "첨탑에서 첨탑까지 천을 펼치고, 창에서 창까지 화환을 걸고, 별에서 별까지 금으로 된 사슬을 매어 나는 춤을 추리라."
King David leaped and danced naked before the ark of the Lord in a barren desert.
다윗 왕은 불모지 사막에서 하나님의 궤 앞에 벌거벗은 채 뛰어오르고 춤추었다.
Here the very looped soil is an intricate throng of praise.
여기 고리로 묶인 바로 이 흙이 얽히고 설킨 찬양대이다.
Make connections; let rip; and dance where you can.
엮은 뒤 찢어라. 그리고 충출 수 있는 곳에서 춤추어라.
The insects and earthworms, moles, muskrats, roots and fungal strands are not all.
곤충과 지렁이와 두더지와 사향뒤쥐와 나무뿌리와 가느다란 줄로 붙은 진균들이 전부는 아니다.
An even frailer, dimmer movement, a pavane, is being performed deep under me now.
훨씬 더 섬세하고 어렴풋한 움직임, 궁정에서 추는 춤 같은 우아한 움직임이 지금 내 발밑 깊숙한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The nymphs of cicadas are alive.
매미의 애벌레들이 살아 있는 것이다.
You see their split skins, an inch long, brown, and translucent, curved and segmented like shrimp, stuck arching on the trunks of trees.
3센티미터 길이의 반투명한 갈색에 새우처럼 몸이 마디지고 굴곡이 진, 애벌레가 벗어 놓은 갈라진 허물이 나무줄기에 아치모양으로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And you see the adults occasionally, large and sturdy, with glittering black and green bodies, veined transparent wings folded over their backs, and artficial-looking, bright red eyes.
그리고 때때로 다 자란 매미를 보기도 한다. 크고 튼튼한 어른 매미는 검초록빛의 몸통에, 등에는 가느다란 줄무늬가 있는 투명한 날개가 접혀 있고, 인공적인 것처럼 보이는 눈은 밝은 빨간색이다.
But you never see the living nymphs.
하지만 우리는 살아 있는 매미 애벌레는 절대 볼 수 없다.
They are underground, clasping roots and sucking the sweet sap of trees.
녀석들은 지하에서 뿌리를 꼭 껴안은 채 나무의 달콤한 수액을 빨아먹느라 여념이 없기 때문이다.
In the South, the periodical cicada has a breeding cycle of thirteen years, instead of seventeen years as in the North.
미국 북부에서는 매미의 번식 주기가 17년인 데 반해 남부에서는 13년이다.
That a live creature spends thirteen consecutive years scrabbling around in the root systems of trees in the dark and damp---thirteen years!----is amply boggling for me.
살아 있는 생물이 어둡고 축축한 곳에 있는 나무의 뿌리 주변을 헤집으면서 13년을 보낸다는 것(무려 13년이나!)은 충분히 놀라운 일이다.
Four more years----or four less----wouldn't alter the picture a jot.
4년 더 있거나 덜 있는 것은 조금도 상황을 바꾸지 못한다.
In the dark of an April night the nymphs emerge, all at once, as many as eighty-four of them digging into the air from every square foot of ground.
4월의 어느 날 밤 어두운 곳에서 여든네 마리의 매미 애벌레가 한꺼번에 대기 중으로 나와서 평방 30센티미터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있다.
They inch up trees and bushes, shed their skins, and begin that hollow, shrill grind that lasts all summer.
그 애벌레들은 나무와 덤북 속으로 조금씩 들어가 허물을 벗고는 지난 여름 내내 계속해 온 그 공허하고 지겨운 일을 시작한다.
I guess as nymphs they never see the sun.
아마 애벌레들은 한 번도 태양을 본 적이 없을 것이다.
Adults lay eggs in slits along twig bark; the hatched nymphs drop to the ground and burrow, vanish from the face of the earth, biding their time, for thirteen years.
어른 매미는 나뭇가지 껍질을 따라 난 틈에 알을 낳는다. 알을 까고 나온 애버레는 땅에 떨어져 깊이 파고 들어가 지구 표면에서 사라진 뒤 때를 기다린다. 13년 동안이나.
How many are under me now, wishing what?
지금 내 발 아래에 얼마나 많은 애벌레들이 있을까? 무엇을 꿈꾸면서?
What would I think about for thirteen years?
13년간 나는 무슨 생각을 할까?
They curl, crawl, clutch at roots and suck, suck blinded, suck trees, rain or shine, heat or frost, year after groping year.
애벌레들은 뿌리에 몸을 감고 기어 다니면서 뿌리를 붙든다. 그리고는 비가 오나 해가 나나, 날이 덥든 서리가 끼든 나무를 빨아먹을 따름이다. 더듬더듬 세월을 더듬으면서 맹목적으로 빨아 먹는다.
And under the cicadas, deeper down than the lognest taproot, between and beneath the rounded black rocks and slanting slabs of sandstone in the earth, ground water is creeping.
매미 밑에, 가장 긴 원뿌리보다 더 아래 깊숙한 곳에, 검고 둥근바위들과 기울어진 사암 석판 사이, 그 밑으로 지하수가 조용히 흐르고 있다.
Ground water seeps and slides, across and down, across and down, leaking from here to there minutely, at the rate of a mile a year.
지하수는 가로지르듯 아래로 스며 나와 흐르고 있다. 여기에서 저기까지 서서히 새어 나와 1년에 1킬로미터씩 간다.
What a tug of waters goes on!
물은 얼마나 분투를 겪고 있는 것인가!
There are flings and pulls in every direction at every moment.
매 순간 사방으로 돌진하고 끌어당긴다.
The world is a wild wrestle under the grass: earth shall be moved.
세상은 풀 밑 거친 전쟁터이다. 흙이 움직인다.
메멘토 모리 : 죽음을 기억하면 현재를 누릴 수 있다
'느낌표!!!!!!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소리는 왜 아름다운가 .../ 애니 딜라드의 자연의 지혜중에서 (0) | 2010.08.20 |
---|---|
죽음을 기억하면 현재를 누릴 수 있다 / 애니 딜라드의 자연의 지혜중에서 (0) | 2010.08.17 |
Pilgrim at Tinker Creek / Annie Dillard / (0) | 2010.07.31 |
Pilgrim at Tinker Creek / Chapter 6 .... (0) | 2010.07.30 |
Pilgrim at Tinker Creek 6장 The Present..../Annie Dillard (0) | 2010.07.29 |